-
김교수의 바이오 스토리 하우스
-
바이오 스토리 하우스
-
바이오 스토리 하우스
최신 글
-
[중앙SUNDAY 김은기의 '바이오 토크']<101>[신종코로나 비상]동물·사람 간 감염 61종…코로나·플루가 두목급 바이러스
[신종코로나 비상] 인류 최후의 적, 바이러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으로 세계가 초비상이다. 치사율은 2% 가까이 된다.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10%,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30%보다 낮지만 일반독감(플루)보다는 훨씬 높다. 블룸버그통신은 이번 겨울 미국에서 1900만~2600만 명이 독감에 걸려 1만 명 이상이 사망했다고 전했다. 치사율이 낮아도 감염자가 많아지면 사망자도 그만큼 늘어난다. 왜 이런 바이러스폭풍이 점점 자주 발생할까. 노벨상 수상 과학자들은 지구온난화, 핵전쟁에 이어 대규모 질병, 특히 바이러스폭풍을 인류 멸망 가능성의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인류 최후의 적은 바이러스다. 바이러스를 들여다보자, 박쥐 한 마리에 137종 바이러스그중 44..
2025.03.25
-
[중앙SUNDAY 김은기의 '바이오 토크'](100)소식·냉수마찰은 ‘착한 스트레스’…저항성 키워 수명 늘린다
중앙일보 링크: news.joins.com/article/23685003일러스트=이정권 gaga@joongang.co.kr ‘9988234~’. ‘99세까지 팔팔하게 살다가 2~3일 만에 사망하자’는 뜻의 건강장수를 기원하는 건배사다. 90세를 훌쩍 넘기고도 건장한 어르신들이 있는 집안은 자식들도 오래 산다. 장수집안이 따로 있을까. 있다. 가족력, 즉 DNA가 장수 여부를 10~25% 결정한다. 나머지는 환경이다. 특히 스트레스는 수명과 직결된다. 사촌이 땅을 사서 배가 아픈 게 오래간다면 그만큼 수명도 줄어든다. 그렇다고 스트레스가 건강에 나쁘기만 할까. 초등학교 운동회 시절, 달리기 출발선에 선 아이들의 ‘도전’ 스트레스는 이후 수명을 줄일까 늘일까. 어릴 적 운동회 달리기 전 긴장감 등특정 D..
2025.03.25
-
[중앙SUNDAY 김은기의 '바이오 토크']<99>기생충’의 복숭아털보다 센 식품 알레르기, 장내세균이 잡아
‘기생충’의 복숭아털보다 센 식품 알레르기, 장내세균이 잡아김은기의 바이오토크 영화 ‘기생충’(2019, 한국)에서 지하 셋방에 살던 일당들은 부잣집에 기생하려고 기발한 아이디어를 낸다. 그중 하나는 복숭아털 뿌리기다. 가정부가 복숭아털 알레르기가 있다는 걸 알아낸다. 일당은 몰래 복숭아털을 뿌린다. ‘쿨럭쿨럭’ 하는 가정부를 ‘결핵환자’라고 꾸며 쫓아낸다. 영화 속 상상만이 아니다. 복숭아털 같은 봄철 꽃가루 알레르기는 전 국민 20~25%를 괴롭힌다. 콧물, 재채기로 꽃피는 봄이 괴롭다. 게다가 평생 간다. 하지만 죽을 정도는 아니다. 면역훈련, 유해균 억제, 비타민 합성장내세균 6종 없으면 제대로 안 돼자연분만·모유수유가 면역 키워줘‘온실’서 자란 아이는 면역 불균형과민성 대장염, 1형 당뇨도 ..
2025.03.25
-
[중앙SUNDAY 김은기의 '바이오 토크']<98>치매 막으려면 운동하라, 뉴런 늘어나 기억력 좋아진다
치매 막으려면 운동하라, 뉴런 늘어나 기억력 좋아진다 김은기의 바이오토크수십 년 전 초등학교 친구 이름은 지금도 기억난다. 하지만 어제 만난 기업체 사장은 이름은커녕 얼굴도 기억나지 않는다. 왜 어떤 기억은 오래가고 어떤 건 쉽게 사라질까. 치매는 40대부터 증상 없이 생긴다.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까. 최근 과학은 두뇌기억을 분자수준에서 들여다본다. 기억을 오래 남기고 싶은가? 기억참여 세포 수를 늘려라. 뇌가 싱싱하게 하라. 운동이 답이다. 기억은 뉴런들이 연결된 3D 회로두뇌 양옆의 해마 중심으로 발생많은 뇌세포가 참여해야 오래 기억연결 회로보다 뉴런 숫자가 중요자전거 30분 타면 뇌활동 2.5배 증가운동하면 몸뿐 아니라 정신도 튼튼 기억은 두뇌 곳곳에서 동시에 일어난다. 해마(海馬)가 중심이다. ..
2025.03.25
-
[중앙SUNDAY 김은기의 '바이오 토크']<97> 모든 항생제 이기는 수퍼버그, 박테리아 킬러 ‘파지’로 잡는다
모든 항생제 이기는 수퍼버그, 박테리아 킬러 ‘파지’로 잡는다 김은기의 바이오토크 런던 지하철 손잡이에 묻어 있는 균 53%는 여러 항생제가 듣지 않는 ‘수퍼버그(Superbug)’다. 국내도 마찬가지다. 대형병원 엘리베이터 버튼 등에 있는 균 57.5%는 수퍼버그다. 지난 20년간 5배 늘었다. 이런 균은 우리 손에도 묻어 있다. 그리 위험치는 않다. 문제는 이놈들이 폐렴균 등 치명적 병원균에 쉽게 내성유전자를 전달한다는 점이다. 수퍼버그 폐렴균에 감염되면 듣는 항생제가 없어 사망한다. 미국 네바다주 한 여성은 미국 내 모든 항생제 26종에 죽지 않는 수퍼버그 감염으로 사망했다. 이런 수퍼버그 사망자는 세계 병원사망환자의 2~7%다. 항생제를 많이 쓰는 인도는 13%다. 지구 최후 항생제(카파베넴)마저..
2025.03.25
중앙SUNDAY
-
생체모방기술 (19) 흰개미집 모방한 에어콘 없는 건물
* 개미집을 모방한 시원한 건물 얼마전 한 여름에 갑자기 정전이 되어서 서울 시내가 대혼란에 빠졌었다. 무엇보다 에어콘이 돌아가지 않아서 꽉 막힌 건물이 순식간에 찜통으로 변했다. 에어콘을 켜는데 드는 비용이 도시전체 사용전력의 30%를 넘고 있기 때문에 에어콘 사용을 줄이려는 노력이 매년 계속되고 있다. 에어콘 없이 건물을 지을 수는 없을까? 여름에도 에어콘 없이 지내려면 얼음골이 있다는 밀양으로 가야하나? 아니면 선조들이 지어놓은 널찍한 대청이 있는 시골의 한옥을 찾아가야 하나? 현재 전체 인구의 50%가 도시에 거주하고 있고 앞으로도 더 집중될것으로 보면 대도시에서도 에어콘없이 자낼수 있는 건물의 건축기술이 필요하다. 놀랍게도 아프리카의 짐바우에에 있는 이스트 게이트 센터는 에어콘을 쓰지 않는 건..
2013.03.15
-
2. 바이오 직업별 하는 일
2. 바이오 직업별 하는 일 학부, 혹은 대학원 졸업자 진로는 산업체 근무, 전문직(대학교수, 공공기관연구소, 공무원, 변리사 등)으로 대분된다. 어떤 직업을 택할까. 각각 특성을 알면 본인 진로를 결정하기가 쉽다. 1)산업체 근무 기업 연구소: 상업화연구가 우선이다 바이오 산업체에 들어가면 어느 파트에서 근무하게 될까. 현재 국내 회사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은 연구원 30.4%, 생산파트 32%, 관리/영업파트 37.7% 으로 3구분할 수 있다(그림). 석사이상 학위자라면 연구파트가 될 가능성이 많다. 연구파트는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것이 주목적이다. 연구원이 되려면 당연히 연구자체를 좋아해야 한다. 하지만 회사란 특성이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즉 순수연구보다는 상품화로 돈을 벌어야 한다. 연구목적이 ..
2021.08.12
-
(생체모방기술 35). 솔방울처럼 습도를 인식하다 - 자동 통풍 옷
(본 내용은 출판된 서적 (자연에서 발견한 위대한 아이디어 39)의 처음 일부입니다. 여름 장마철은 여러 가지로 곤혹스럽다. 온도가 높은 데다 습도까지 높으면 습식 사우나에 들어선 듯 숨이 턱턱 막힌다. 불쾌지수가 최고다. 불쾌지수는 우리 몸이 느끼는 기분으로 ‘끈끈함’이 대표적이다. 높은 습도로 땀이 덜 날아가서 피부가 끈끈하다고 느끼는 것이다. 이때 바람이 안 통하는 양모, 합성섬유 소재의 옷을 입고 있다면 불쾌지수가 더 높아진다. 만약 몸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해 입고 있는 옷의 섬유 구조가 자동으로 변하고 바람이 시원하게 통한다면 어떨까? 자연 속 식물은 이미 그 통풍 비법을 알고 있다. * 가을이 되면 벌어지는 솔방울 가을철 등산로를 걷다 보면 벌어진 솔방울을 많이 만날 수 있다. 왜 가을이 ..
2023.06.07
-
(생체모방기술 34). 한눈에 빠르게 360도를 본다 – 인공 잠자리 눈
(본 내용은 출판된 서적 (자연에서 발견한 위대한 아이디어 39)의 처음 일부입니다. 1. 한눈에 빠르게 360도를 본다 – 인공 잠자리 눈 공원에 한 가족이 나들이를 나왔다. 잠자리를 잡아달라는 아이들의 성화에 아빠는 온 정신을 집중하고 있었다. 갈대 위 고추잠자리가 목표였다. 먹잇감을 노리며 살금살금 기어가는 사자처럼 아빠는 조심스럽게 고추잠자리를 향해 다가갔다. 하지만 야들야들한 날개를 잡아채려던 순간, 잠자리는 휙 하고 가볍게 날아올랐다. 잠자리의 눈은 360도를 본다. 그로 인해 수억 년 동안 살아남을 수 있었다. 잠자리의 눈을 자세히 관찰했던 과학자들은 무릎을 칠 수밖에 없었다. 만약 잠자리의 눈을 닮은 내시경을 만든다면 동굴 같은 위장 속을 한눈에 볼 수 있지 않을까? 자율주행차에 인공 ..
2023.02.23
-
생체모방기술 (2) 스키장과 인공눈-냉해 박테리아
(1)스키장 풍경 요즘 스키장을 간다는 것은 친구들과 동네 PC방에 잠시 다녀온다는 것과 같은 느낌이다. 대단한 준비를 하는 것도 아니고 좀 일찍 일어나 그냥 차에 몸만 실면 된다. 셔틀버스에서 설친 새벽잠을 자고나면 어느새 스키장 아래에 와 있다. 옷에 대한 고민도 없다. 대여점에서 얼마를 주고나면 최신 유행의 스키복부터 장갑, 모자 그리고 안경까지 없는 게 없다. 물론 스키와 신발은 발에 맞는 것으로 골라 신으면 된다. 스키는 이제 누구라도 즐길 수 있는 스포츠가 되었다.이렇게 스키가 만인의 즐거운 놀이가 된 것은 쉽게 렌탈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일 모두 다 구입해야 한다면 그 비용이 만만치 않다. 한국이 빌려주는 것에 대하여 최근에 붐이 일고 있다면 미국은 좀 더 일찍 눈을 떳다고 할 수 있다..
2013.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