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인체공생균/장내세균 시리즈(잡지연재)11 (11)세균사이 SNS를 이해하면 질병치료 길이 보인다 건강한 30대 남성 배우가 가벼운 인후염으로 입원 후 3일 만에 숨졌다. 염증에서 시작한 급성 패혈증이다. 패혈증은 혈액 침투한 세균의 독소와 심한 염증반응이 급속히 퍼지면서 생긴다. 중증 패혈증은 사망률이 40-60%다. 병원 내 사망 원인 첫 번째다. 이 무서운 병원균이 어디에서 왔을까. 놀랍게도 87%가 환자 콧속에 있었던 균이다. 콧속에서 다른 놈들과 어울려 평화롭게 지내던 놈이 어떤 이유로 이렇게 독한 놈으로 돌변하는 걸까. 콧속 균들은 그룹(마이크로비옴:Microbiome:미생물군집체)내에서 상호 소통한다. 서로 견제, 협력하며 살아가는 콧속 균을 들여다보자. 그러면 보인다. 인체공생균과 연결되어 발생하는 많은 질병들, 즉 패혈증, 아토피, 알레르기, 비만, 자폐증, 자가면역질환 등을 치료할 .. 2022. 3. 7. (10)숨겨진 보물, 비타민D의 호흡기바이러스(코로나)중중예방효과가 기대된다 아파트 단지 내에서 자주 마주치던 노부부가 코로나로 입원했다. 하지만 채 2주가 안 돼 두 분 모두 돌아가셨다. 백신이 나오기 전이었다. 그때까지도 70세 이상 노년환자 사망원인 1위는 독감이었다, 코로나는 독감보다 더 독하다. 사망률 3배, 중증화율 1.5배, 입원기간 2배다. 감염이후 면역과잉반응인 소위 ‘싸이토카인 폭풍’이 사망 주원인이다. 그런데 왜 누구는 경증, 누구는 중증으로 달라지는 걸까. 면역에 무슨 차이가 있는 걸까. 최근 코로나입원환자 경과를 지켜보던 과학자들은 이상한 현상을 발견한다. 중증환자들 모두 비타민 D부족이다. 의료진은 코로나 환자를 대상으로 고농도 비타민D를 공급해보았다. 그러자 사망률·입원률이 현저히 낮아졌다. 비타민 D 효과에 과학계는 술렁였다. 흔히 먹던 비타민D가 코.. 2022. 2. 28. (9)어떤 탄수화물을 얼마만큼 먹어야 장수할까 한국인의 밥심 ‘한국인은 밥심이여’ 시골 한 어르신은 아침 밥상에서 주발 가득한 고봉밥에 한 숟가락 더 얹으며 말했다. 30년 전 이야기다. 하지만 이제는 아침에 밥을 먹은 기억이 별로 없다. 밥 먹으면 뱃살 나온다는 이야기 때문에 밥 대신 고구마, 빵으로 대신한다. 실제로 국내 쌀 소비는 30년 동안 반 토막이 났다. 달달한 탄수화물을 줄여 뱃살을 막는 건 이해된다. 하지만 밥 한 그릇을 토스토 하나로 대신하는 소위‘황제 다이어트(저탄소·고지방)’는 괜찮을까. 탄수화물은 어떤 걸 먹어야 장수할까. 탄수화물 대부분은 분해·흡수되어 혈액 속 포도당(혈당)이 된다. 혈당은, 놀랍게도, 50%가 두뇌에서 쓴다. 만약 포도당이 줄어들면, 예를 들어, 밥 한 그릇대신 토스트 한쪽만을 먹었다면, 두뇌에선 무.. 2022. 2. 14. (8)자가면역질환을 장내세균으로 치료해보자 류마티스 관절염은 면역이 자기 몸을 공격하는 자중지란(自中之亂), 즉 ‘자가면역질환’의 하나다. 자가면역 질환은, 마국 경우 전체인구 8%이며 여성사망률 10위인 치명적인 질병이다. 완치가 힘들어서 조기발견·관리가 중요하며 염증·면역억제제로 증상을 다스리는 게 현재로선 최선이다. 최근 장내미생물이 염증을 억제하고 면역을 조절한다는 연구가 봇물을 이룬다. 면역세포 70%가 장에 몰려있다. 이들 장내미생물이 ‘제 몸을 공격하는’ 자가면역질환을 정상으로 돌릴 수 있을까. ‘류마티스 관절염’하면 떠오르는 사람이 있다.필자가 송 박사를 만난 것은 35년 전 미국 유학시절이다. 뉴욕 주 시골에 있는 대학은 겨울이 유난히 길고 우중충했다. 더구나 그 대학은 학교 뒷산에 ‘자살다리’가 있을 정도로 공부압박이 심했다. .. 2022. 2. 4. (7)간질환은 장내세균 직통라인으로 다스린다 나는 간(肝)세포다. 내 주인인 D부장은 지금 생사의 기로에 있다. 간에 심각한 문제가 생겼다. 정작 본인은 모르고 있다. 주인으로 모시고 산지가 벌써 40년인데 이렇게 보낼 수는 없다. 답답한 마음에 다른 세포들에게 SOS문자를 보냈다. ‘내 주인 간 경변 발생. SOS’ 면역세포가 답이 왔다. ‘초기 지방간일 때 경고했었음. 네 주인이 말을 안 들었다고 했지, 자업자득임’ 간 경변 환자는 장기이식만이 완전한 해결책이다. 하지만 장기이식은 줄이 길다. 제때 받을 가능성은 7%다. 이제 주인을 저 세상으로 보내야 하나. 밤늦게 문자가 하나 왔다. ‘내가 도울 수 있음’ 발신자를 보니 ‘장내세균’이다. ‘어라? 이 녀석은 정체가 모호한 놈인데?’ 더구나 나처럼 주인의 분신(分身)이 아니다. 태어날.. 2021. 12. 12. (6)먹는 단백질 종류, 량에 따라 수명이 달라진다 굿에이징 잡지 http://www.goodag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1 [Column 김은기] 단백질, 먹는 양에 따라 수명이 달라진다. - 굿에이징 먹는 단백질 비율, 종류가 수명에 직접 영향을 준다.C상무가 저녁모임에서 돌연 채식을 선언했다. 건강상의 문제가 있냐는 주위 질문에 동물성 단백질, 즉 소고기, 돼지고기 등이 몸에 안 좋다는 www.goodage.co.kr 먹는 단백질 비율, 종류가 수명에 직접 영향을 준다 C상무가 저녁모임에서 돌연 채식을 선언했다. 건강상의 문제가 있냐는 주위 질문에 동물성 단백질, 즉 소고기, 돼지고기 등이 몸에 안 좋다는 이야기를 들었다는 거다. 같이 있던 B박사가 한 소리 했다. 그는 고기 신봉자다. “나이 들면 고기 .. 2021. 12. 12. (5)탈모, 모낭세포의 성장을 막는 놈을 잡아라. 피부상재균과의 평화협정이 깨지면 모발이 뿌리 채 빠진다 오랜만에 나타난 D교수 얼굴이 말이 아니다. 무엇보다 그가 대머리를 모자로 가렸다는 건 그답지 않은 행동이었다. 본인 스스로 ‘한국의 숀 코네리’라고 할 만큼 그는 자신의 ‘반짝이는 머리’를 오히려 내세웠다. 그가 속사정을 털어놓았다. 그의 탈모는 집안내력으로 정수리부분 모발이 거의 없는 ‘M형’ 탈모다. 그건 괜찮다. 문제는 그나마 남아있던 중간부분 모발에 동전만한 구멍들이 듬성듬성 생겼다는 거다. 의사는 ‘스트레스성 원형탈모’라 했다. M형 탈모에도 그리 신경을 쓰지 않던 그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원인이 있었다. 기말고사 때 시험문제가 유출된 거다. 그것도 수백 명이 듣는 인터넷 교양과목 강의이고 이미 성적이 모두 공지된 다음에 밝혀진 거.. 2021. 10. 12. (4)전립선암과 장내세균 직통라인이 있다 (염증이 유발하는 전립선암) 전립선암과 장내세균 직통라인이 있다 (염증이 유발하는 전립선암) “오줌발이 모르스 신호 같아” 드라마 ‘코민스키메소드’ (2018, 넷플릭스) 주인공역의 마이클 더글러스(76세)가 친구에게 툴툴거리며 하는 말이다. 소변이 시원스럽게 나오지 않고 모르스 신호처럼 ‘똑똑-’ 떨어진다는 불평이다. ‘간헐뇨’라고 부르는 현상으로 소변발이 약해서다. 방광아래 요도 주위 전립선조직이 커져서 요도를 누른다. 소위 ‘전립선 비대증(肥大症)’이다. 나이 들면 생기는 남성비뇨기 대표질환이다. 전립선과 장내세균은 직통라인이 있다.드라마 속 주인공 경우처럼 전립선비대증은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린다. 늘 소변에 신경을 써야한다. 장거리 여행에는 화장실여부부터 챙겨야 한다. 하지만 약을 먹으면 대부분 증세가 호.. 2021. 9. 15. (3)인체공생균 패턴을 조사하여 질병을 진단,치료한다 (3:개인맞춤형 식단의 진단과 처방) 조선시대 왕 주치의인 어의(御醫)는 ‘매화(梅花)’틀 속 임금 대변을 매일 관찰했다. 혀로 맛보기도 했다. 지금도 변 상태는 건강척도다. 황금색 바나나 변은 잘 먹고 소화시킨다는 반증이다. 반면 토끼 똥은 이상신호다. 그럼 변으로 건강진단을 할 수 있을까. 아니 한발 더 나아가보자. 변 검사를 통해 현재 건강상태를 진단하고 ‘개인맞춤형 식단’을 처방할 수 있을까. 답은 ‘그렇다’다. 음식, 장내세균, 대사성질환의 연결방정식을 풀다2021년 저명학술지 ‘내쳐메디신’에는 ‘개인맞춤형’ 건강식단이 가능하다는 논문이 실렸다. 영국 킹스칼리지대학 연구진은 미국·영국 성인 1098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매일 무엇을 먹는지, 그래서 어떤 장내세균이 생기고, 그래서 어떤 혈액 속 성분, 특히 대사성질환관련 성분들이 .. 2021. 8. 9. (2)누렁코를 없애는 유익균을 찾아라 현기영 성장소설 《지상에 숟가락 하나》에는 누렁코 이야기가 나온다. “누렁코 두 가닥이 지렁이처럼 스멀스멀 기어 나와 마침내 윗입술 가에 가 닿는 그 아슬아슬한 순간에 이르면 바로 후루룩 소리와 함께 급히 콧구멍 속으로 도로 빨려 들어가곤 했다. 후루룩,그야말로 우동 가락이 빨려 들어가는 형국이 아니고 무엇이랴.” 어린이의 노란 콧물, ‘코가 누렇다’는 말은 콧 속 어딘가가 곪아있다는 증거다. 축농증은 성인의 10%가 걸릴 만큼 흔한 질병으로 코에 염증(비염)이 심해져 코 주위의 뼛속 빈 곳인 부비동에 옮겨가 고름이 찬다. 의학 교과서에서 축농증의 첫 번째 증상으로 끈끈한 콧물이 목 뒤로 넘어가는 현상을 말한다. 소설 속 ‘우동 가락’처럼 빨려 들어가는 것이다. 사람은 주기적으로 감기에 걸리는데, 이들 .. 2021. 4. 24. (1)치매 해답은 두뇌 - 장 핫라인에 있다 이삿짐을 정리하던 집사람이 환호한다. 필자의 오래된 배낭 속에서 현금다발을 발견한 거다. 용도를 의심하는 눈치다. 배낭 속에 함께 있던 플래시, 초, 라디오처럼 ‘전쟁 비상용품’으로 준비해놓은 돈이라는 내 설명에 긴가민가 한다. 집사람은 횡재에 기뻐하지만 나는 횡액이 아닐까 걱정이다. 어떻게 그 현금 뭉치를 까맣게 잊어버리고 있었을까. 치매인가? 돈다발을 어디에 두었는지 가물거린다면 건망증이지만 오만원권 화폐 속 신사임당이 누구인지 모른다면 그건 치매다. 건망증이 심해진다면 그건 치매 전조증상이다. 건망증의 10%가 치매로 발전하기 때문이다. 치매는 왜 생기고 예방과 치료대책은 있을까? 아직 치매 치료 약은 없는 상황에서 첨단과학이 그 답을 장내세균에서 찾고 있다. 치매 환자 두뇌에서 장내미생물 껍질이 .. 2021. 2. 28. 이전 1 다음